React-Native/RN CLI
React_Native CLI 설치 및 에러 대응
HELLICAT
2023. 11. 20. 18:29
반응형
React-Native CLI를 설치하기 위한 자료는 (https://reactnative.dev/docs/environment-setup?guide=native&platform=android&os=macos) 에 나와있다.
React Native CLI로 작업하기 위해서는 <개발하는 OS>와 <타겟되는 OS>를 정해야한다. 필자의 같은 경우에는 <개발 OS>는 <Mac OS> // <타겟 OS>는 Android 로 정하고 개발환경을 만들어주었다.
1. Node & Watchman 설치
brew install node
brew install watchman
2. Java Develope Kit (JDK)
brew tap homebrew/cask-versions
brew install --cask zulu11
# Get path to where cask was installed to double-click installer
brew info --cask zulu11
환경변수 설정 (zshrc)
터미널에
vim ~/.zshrc 입력
e 눌러 edit mode
page down 눌러 제일 아래로 이동후
insert 활성하고 아래 작성
export JAVA_HOME="/Library/Java/JavaVirtualMachines/zulu-11.jdk/Contents/Home"
export PATH=${PATH}:$JAVA_HOME/bin
작성후 ctrl+c 누르고 :wq 눌러 vim~/.zshrc에서 나오기
터미널 종료 후 다시 시작하여
echo $JAVA_HOME
입력후 경로 확인
3. Android 개발 환경 설정
- android sdk
- android sdk platform
- android virtual device
설치
- 3-1. Android SDK 설치
2023년 11월 16일 기준 Android 13(Tiramisu) 설치를 권고함
Android Studio 열고 More Action에서 SDK MANAGER로 들어가서 설치
- Android SDK Platform 33
- Intel x86 Atom_64 System Image또는 Google APIs Intel x86 Atom System Image또는 (Apple M1 Silicon의 경우)Google APIs ARM 64 v8a System Image
- 3-2 Android_HOME 환경 변수 구성
터미널에
vim ~/.zshrc 입력
e 눌러 edit mode
page down 눌러 제일 아래로 이동후
insert 활성하고 아래 작성
export ANDROID_HOME=$HOME/Library/Android/sdk
export PATH=$PATH:$ANDROID_HOME/emulator
export PATH=$PATH:$ANDROID_HOME/platform-tools
작성후 ctrl+c 누르고 :wq 눌러 vim~/.zshrc에서 나오기
4. Project 설치
원하는 폴더 만들고 vscode 열어 아래 명령어 입력
npx react-native@latest init AwesomeProject
5. 프로젝트 시작
npm run android
혹은
npx react-native run-android
설치 중 오류처리
Project 설치시 Ruby의 버전이 낮아 Cocoapods를 설치를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.
Ruby의 버전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사용한 방법을 나열하겠다.
brew update
brew upgrade
brew install rbenv ruby-build
// 위 설치 후 rbenv로 설치할 수 있는 Ruby버전을 확인한다.
rbenv install -l
// ruby 홈페이지가서 스텐다드 버전을 확인하고 다운 받았다.
rbenv install 3.x.x
// 설치 후 설치된 버전으로 바꾸기 위해
rbenv global 3.x.x
//입력
ruby --version
//위를 입력하여 본인이 설치한 버전이 바뀌었는지 확인한다.
// 터미널을 껏다 켜고 다시 한번 더 확인한다.
버전이 바뀌지 않았을 때
rbenv init
// 를 입력하면
# Load rbenv automatically by appending
# the following to ~/.zshrc:
eval "$(rbenv init - zsh)"
//라고 나오는데 이것을
vim ~/.zshrc
// 위를 입력하여 편집 모드로 들어가 제일 하단에
eval "$(rbenv init - zsh)"
// 위의 문구를 추가해주자
// 추가 후 터미널을 껏다 다시 켜고
// ruby --version을 눌러준다.
Watchman Error
npm run android를 하고 watchman 터미널이 따로 등장하는데 등장과 함께 에러코드가 나왔다.
...내용중략~~~ watchman error operation not permitted ~~~~내용중략...
문구가 나왔을 시 순차적으로 입력하자.
watchman watch-del-all
watchman shutdown-server
또한 .watchmanconfig 파일 내부는
{}
중괄호가 입력되어 있어져야한다.
728x90